예방접종
- 황열 예방접종은 황열 감염 위험지역 도착 최소 10일전에 접종하여야 하며 항체는 접종 10일후에 형성되어 약 99% 이상의 예방효과가 있으며 면역력은 10년간 유지됨
- 황열 예방접종은 주로 아프리카와 중남미지역 여행 시 필요하며 특정국가에서는 입국 시 여행자에게 황열예방접종이 기록된 ‘국제공인예방 접종증명서’를 요구하기도 함
(단, 의학적으로 황열예방접종을 받을 수 없는 경우에는 ‘황열예방접종면제증명서’를 발급 받아 출국가능) - 발급받은 ‘국제공인예방접종증명서’는 반드시 여권에 넣어두어, 출국 당일 두고가는 일이 없도록 함.
황열 예방접종 후 주의사항
- 3일 정도 금주
- 3일 정도 사우나, 통목욕 삼가(샤워 가능)
- 3∼14일 후에 미열과 경한 두통, 몸살(근육통), 주사부위 통증 등이 발생할 수 있음.
극히 일부의 경우 이상반응(심하고 지속적인 구토나 발진, 이상감각, 악성두통, 호흡곤란, 경련, 혼수, 산증, 근육 혹은 간 세포융해, 림프구 및 혈소판 감소, 신부전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상반응이 있을 시는 예방접종기관에 문의
황열 예방접종 제한 대상자
- 9개월 미만의 영아 및 임신부, 수유부
- 계란, 젤라틴 등에 과민반응이 있는 사람
- 현재 중증의 발열성 질환이 있는 사람(체온이 38℃ 이상인 사람)
- 흉선 질병(Thymus disease)의 병력이 있거나, 선천적 혹은 후천적으로 면역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사람
(예:후천성면역결핍증)
* HIV감염자들의 경우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을 나타내지 않았거나 의사의 지시가 있으면 황열예방접종 가능 - 과거 황열예방접종을 받은 후 심각한 과민반응(아나필락시스)을 나타낸 사람
국제공인 예방접종기관
기관
전화번호
국립인천공항검역소
(032) 740-2700
국립부산검역소
(051) 462-3505
국립인천검역소
(032) 883-7503
국립군산검역소
(063) 445-4239
국립목포검역소
(061) 244-0941
국립여수검역소
(061) 665-2367
국립마산검역소
(055) 246-2443
국립김해검역소
(051) 973-6525
대구국제공항지소
(053) 986-7696
기관
전화번호
국립통영검역소
(055) 681-2418
국립울산검역소
(052) 255-4503
국립포항검역소
(054) 246-8545
국립동해검역소
(033) 535-6023
국립제주검역소
(064) 728-5500
국립중앙의료원
(02) 2262-4833
충남대학교병원
(042) 280-7114
분당서울대병원
1588-3369
진단 및 처방
- 아프리카 방문 최소 2주 전에 말라리아 예방약 취급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방문 지역에 따른 처방전을 받아 예방약 구매(비보험)
예방약 복용
예방약 종류
방문 전 복용기간
귀국 후 복용기간
메플로퀸(mefloquine)
1~2주
4주
메플로퀸(mefloquine)
1~2주
4주
클로로퀸(chloroquine)
1~2주
4주
독시사이클린(doxycycline)
1~2일
4주
아토바쿠온/프로구아닐
(atovaquone/proguanil)
(atovaquone/proguanil)
1~2일
7일
프리마퀸(primaquine)
1~2일
7일
말라리아 예방약 취급 의료기관
지역
기관
주소
전화번호
서울
국립중앙의료원
중구 을지로 243
02-2262-4741
아산병원
송파구 풍납동 388-1
1688-7575
강북삼성병원
종로구 평동 108
02-739-3211
삼성의료원
강남구 일원동 50
02-3410-3114
백병원
중구 저동 85
02-2270-0097
순천향대학교서울병원
용산구 대사관로 59
02-709-9158
경기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300
1588-3369
일산병원
고양시 일산동구 백석1동 1232
1577-0013
대전
건양대학교병원
서구 가수원동 685
1577-3330
을지대학병원
서구 둔산2동 1306
042-611-3097
충남대학교병원
중구 문화로 33
042-280-7114
대구
경북대학병원
중구 삼덕동 2가
053-420-5540
광주
전남대학병원
동구 학1동 8
062-220-5114
울산
울산대부속병원
동구 전하동 290-3
051-894-3421
부산
부산대학교병원
서구 구덕로 305
051-240-7300
부산백병원
진구 개금동 633-165
051-894-3421
동아대학교병원
서구 동대신동 3가 1
051-240-2400
기타 사항
- 예방접종 및 예방약 복용에 관한 상세한 안내는 “질병관리본부 해외여행질병정보센터” 홈페이지(http://travelinfo.cdc.go.kr) 참고
기후
- 기후는 일년에 두 차례의 건기와 우기가 교대로 오는데, 건기와 우기가 그렇게 뚜렷하지는 않음. 건기 때도 가끔 비가 올 때가 있고, 우기에는 대체로 비가 매일 오는 편이지만 반드시 그렇지는 않음.
- 전형적인 우기날씨는 아침에 약 1시간 정도 비가 세차게 내리고 멈춘다. 이 곳의 비는 스퀄(squall)이라고 불리는데, 강한 바람과 굵은 빗줄기의 비가 와서 마침 한국에서의 태풍이 올 때 비 가 오는 것과 흡사함. 세계적인 기상변화의 영향인지 우간다의 기후도 크게 변동이 되어 우기와 건기의 구별이 분명치 않게 됨.
- 건기인 연말연시에는 밤에도 좀 덥다고 느낄 정도가 되지만, 일년 내내 거의 쾌적한 기온을 유지함. 낮 최고 기온이 30도 정도 되지만, 습기가 높지 않아 그늘에만 들면 시원해짐
- 아침과 밤에는 한국의 초가을정도의 기온이 됨. 하지만 하루종일 구름이 끼는 날은 제법 기온이 내려감. 이런 날은 긴 팔 소매가 필요하고 현지인 들은 스웨터를 입고 다니는 것을 종종 볼 수 있음
의류 준비
- 한 낮에는 덥지만 자외선이 강하므로 노출이 심한 옷은 삼감
- 밤과 낮의 일교차(10~15도)가 심하므로 야간활동 등을 대비하여 두툼한 남방, 셔츠와 얇은 점퍼 등 준비
- 야외 활동이 많은 일정일 때는 잦은 소나기와 스퀄에 대비하여 우비 준비
- 출국 전 환전은 미화(US$)로 하고, 2010년 이후 발행된 화폐로 환전
(50달러 이상의 고액권이 우간다 화폐로 환전시 유리함, 20달러 이하는 환전시 매우 불리) - 입국 시 비자발급 수수료 납부를 위해 50달러 지폐 한 장을 반드시 준비.
우간다 뿐만 아니라 케냐, 르완다를 함께 방문하고자 할 때는 동아프리카 3개국 비자 발급을 위해 100달러 준비. - 현지 화폐사용을 위해서는 입국 후 은행이나 사설 환전소를 통해 달러를 우간다 실링으로 환전
선글래스
- 자외선이 강하므로 야외활동 중 눈 보호를 위해 선글래스 준비
개인 의약품
- 진통제, 소화제, 알레르기 치료약, 파스 등 간단한 의약품
플러그 변환 어뎁터
- 영국식 3구 플러그 또는 해외여행자용 멀티어뎁터 준비
모기향
- 모기에 민감한 방문자는 전자모기향 또는 일반 모기향 준비, 현지에서 스프레이 방식의 모기 퇴지제를 구매할 수 있음
현지 물가
- 환율 : 미화 1$ = 약 3350 우간다 실링(USH), 2016년 10월 15일 현재
- 일반 생필품 구매가격
구분
가격
사과 1개
1,000 USH
오이 1Kg
3,000 USH
망고 1개
2,000 USH
토마토 1Kg
4,000 USH
구분
가격
콜라 500ml
1,500 USH
콜라 1.5l
3,000 USH
식빵 1Kg
4,500 USH
딸기잼
8,000 USH